반응형
연산자별 연산자 타입
비교 연산자
두가지 수의 값을 비교하는 연산자
참, 거짓으로 나옴
숫자는 왼쪽을 기준, 의문형으로 말함
[<=] : 이하
[<] : 미만(lt)
[>=] : 이상
[>] : 초과(qt)
[==] : 등호
[!=] : 같지 않음
논리 연산자(참일 때 1, 거짓일 때 0)
[&&] : 논리곱 연산자 - 두 수식이 모두 참일 때, 전체가 참
[||] : 논리합 연산자 - 두 수식 중 하나라도 참이면 전체가 참
[!] : 논리부정 연산자! - 수식이 참이면 거짓, 거짓이면 참
조건연산자
피연산자의 갯수에 따라 단항, 이항, 삼항으로 구별하며, 단항이 가장 우선순위가 높다.
조건? 참 : 거짓
1항 ? 2항 : 3항
대입연산자(변수=값)
왼쪽은 무조건 변수.
복합 대입 연산자
(x = x + 1), (x += 1) 두가지가 동일하나 줄여서 뒤처럼 씀
증감 연산자(단항연산)
[++] : 변수의 값을 1 증가시킴 - 증가 연산자
[--] : 변수의 값을 1 감소시킴 - 감소 연산자
형변환
자료형을 의미를 유지한 채로 다른 자료형으로 변경하는 것. ex) %d > %f
암시적 형변환
long int(8 byte) : -2^63 ~ 2^63 -1
double(8byte) : 5e-320 ~ 1.6e308
- 같은종류의 자료형이면 크기가 작은 자료형을 큰 자료형으로 변경
- 정수와 실수를 계산하면 정수를 실수로 변경
- 정수와 부호가 없는 정수 계산 시 정수를 부호가 없는 정수로 변경