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상수(constant)
- 리터럴과 유사하지만 조금 다름
- const
- define
리터럴(literal)
- 바뀌지 않고 고정된 값(문자 그대로라는 뜻)
변수(variable)
- 변하는 값
🍔문자 '1'과 정수 1의 차이
문자 '1'이 가지는 고유한 값은 49이다.
아스키 코드(ASCII) - 미국 국립 표준 협회 정보교환용 7비트 부호
Dec와 Char를 보자!
🍀Printf()
printf()를 출력하기 위해 #include <stdio.h>가 필요하다.
형식
Printf에서 f는 format이라는 의미이다. - 형식에 맞게 출력한다는 의미
계산 기능
사칙연산 가능
형식 지정자
정수 : %d
실수 : %f
문자 : %c
문자열 : %s
지정자에 맞는 값을 넣어주어야 한다.
형식 지정자의 옵션
%.2f 형식으로 소숫점 자리수를 설정할 수 있다.
%와 s(형식지정자)사이의 숫자로 공간을 표시할 수 있다. 양수일 경우(ex. %10s, %-10s)
%10.2 처럼 나오는 글자수도 조정 가능하다.
🍀컴퓨터 데이터 기본단위
비트
lead zero
decimal digit
binary digit > bit
바이트
8bit = 1bite
글자 최소단위(한글제외)
🍀자료형
int = 4bite
char = 1bite
🍀변수
변할 수 있는 값, 값을 자유롭게 사용가능
변수 사용법
1. 변수를 선언(타입을 붙이고 이름을 붙여준다)
2. 변수를 초기화
값을 할당 ex. int x = 5
3. 변수를 사용
우선순위 =이 가장 마지막
🍀scanf()
키보드입력을 통해 컴퓨터에 알려주는 역할
- #include <shdio.h>, #pragma warning(disable:4996), 변수를 사용한 이후 사용 가능
&와 함께 사용
scanf의 취약점이 있어 오류를 제거 해주어야함
프로그램과 프로세스
프로그램을 실행했을 때, 프로세스가 됨.
코드실습
🤔연산자
🍀산술연산자
피연산자의 자료형이 같아야한다.
+, -, *, /, %
%: 나머지 연산자(두 수를 나누었을 때, 나머지)